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6

6억 한도 부동산 정책 자세히 알아보기 25년 6월 28일부터 시행되는부동산 정책 자세히 알려 드립니다.6월 27일에 국토교통부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가계부채 관리방안을 발표했다.가계 대출 총량 관리 목표를 축소하고 보도 시점부터 바로 다음날 28일부터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시행한다.25년 상반기 가계 대출의 증가속도가 심상치 않다. 25년 1월에 조금 주는듯 한더니 4월 5.3조, 5월 6.0조가 증가하는 추세이다.이러한 가계 대출은 소비로 이어지는것이 아니라 부동산으로 다 흘러가고 있다. 부동산 가격이 치솟고 있으니 대출량도 증가하는것이다.가계 대출 총량 목표를 기존 목표에서 50%로 축소하고(총량이 10조이면 5조로 축소하겠다는 의미..)정책 대출도(디딤돌 대출, 버팀목, 보금자리론) 기존 공급량 대비 25% 감축한다.. 2025. 6. 29.
[월 배당]NVDY 월배당 수익과 팔란티어 월배당주 직장인 바쁘다는(?)핑계로 티스토리 소홀하게 생각했는데, 다시 정신 차리고 포스팅 하기로 했다. 실력이 없으면 꾸준함이라도 있어야지. 월 배당 주 관심갖기 시작한3월..정말 월 배당 꼬박꼬박 들어올까?3월 11일 NVDY 1,027달러 매수했다. 62주 16.57달러 원화로 환산하면 1,485,366원이었다. 당시에 주당 30달러 정도 월배당이 입금된다고 해서 반신반의 하는 마음으로 작은돈을 투자해보기로 결정함..나는 월 배당주 해본적이 없어서 진짜 매달 배당을 받으면 무슨기분일까? 하는 궁금한 마음으로 시작했음!3월 31일 $41.50입금4월 29일 $35.50입금5월 28일 $85.78입금6월 24일 $35.43입금현재까지 총 $198.21 1,300원 환율로 따지면 4개월 간 26만원을 벌었다.아니.. 2025. 6. 24.
비트코인 다시 상승하는 이유, 5월 급등 이유 비트코인이 5월 8일 급등했습니다. 3개월만에 다시 1억을 돌파하면서 굉장히 좋은 흐름을 보이고 있는데요! 이렇게 다시 급등한 이유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5월 8일에는 무슨일이 일어났는가?무역 관세 긴장감이 완화되는 이벤트가 발생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영국 총리 키어 스타머는 5월 8일 미국과 영국의 새로운 무역협정을 발표했습니다. 영국은 미국 관세 10% 유지, 미국은 영국 관세 인하로 협상되면서 무역 긴장이 풀리는 듯한 흐름이 있었습니다. 투자자들의 위험자산 선호도가 올라가는 이벤트입니다.또 무슨일이 일어났는가?미국의 가상화폐 친화 정책이 실행되고 있습니다. 7일 뉴헴프셔주에서는 전략적 비트코인 보유 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8일 애리조나주에서도 가상화폐 보유지원 법안이 통과되었습.. 2025. 5. 11.
NVDY, 월 배당 ETF로 외화벌기 거의 두달만에 쓰는 블로그 ..! 3월 마지막 포스팅이 NVDY를 매수하겠다는 내용이였는데 2개월이 지난 시점 정말 만족할만한 월 배당을 받았을까요!? 열일하고 있던 어느날 "띠링~ " KB증권에서 카톡이 왔습니다. 월 배당금 지급에 대한 안내였습니다. 저는 3월 11일에 62주 단가 16.58달러로 매수했습니다. 원화 환산으로는 1,485,366원어치 매수했습니다. NVDY의 3월 주당 배당금은 0.79달러로 62주 x 0.79달러 =48.98달러 중 15%를 제외하고 41.50달러가 입금되었습니다.NVDY의 4월 주당 배당금은 0.67달러로 62주 x 0.67달러 =41.54달러 중 15%를 제외하고 35.50달러가 입금되었습니다.3월 11일에 148만원을 매수해서 41.50달러 + 35.50달러.. 2025. 5. 11.
[ETF]월배당 ETF, SCHD(슈드),NVDY(엔비디아 추종) 직장인 제 2의 월급 만들기, 월배당 ETF 종류에 대해 알려 드립니다. 요즘 월배당 ETF에 관심이 생겨 열심히 공부하고 있는데요! 오늘 소개드릴 월배당 ETF로 부수입 만들어보자구요!월배당 ETF 개념국내주식에 익숙한 분이라면 월배당 ETF의 개념이 낯설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저 또한 그랬습니다. 보통 배당은 분기별 배당하는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거든요! 그런데 월배당, 말그대로 매월 배당을 해주는 ETF가 있습니다. 이런 월배당 ETF 상품은 특정 주식을 추종하거나, S&P 500과 같은 지수를 추종하거나, 부동산 임대수익을 나눠주는 리츠 ETF가 있습니다.우선 안정적인 주가 흐름과  분기 배당을 지급하는 미국 ETF SCHD(슈드)본격적으로 월배당 ETF에 들어가기에 앞서 한국인에게 가장 익숙.. 2025. 3. 5.
[거시 경제]일본 엔화 약세, 강세 요인(+플라자 합의) 오늘은 거시경제 타임, 일본 엔화 약세 및 강세 요인과 앞으로의 투자 의견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일본 엔화 약세에 빠질수 없는 지난 플라자 합의, 루브르 합의도 함께 공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최근 오건영님의 신작 '환율의 대전환'을 읽고 남기는 포스팅 입니다.왜 일본은 엔화 강세보다 엔화 약세가 유리할까?일본도 우리나라처럼 수출로 먹고사는 나라입니다. 특히나 장기 디플레이션으로 인하여 내수 소비도 활발하지 않은 일본은 더더욱 수출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데요! 일본의 주요 수출 품목은 '자동차', '자동차 부품'과 같습니다.이렇게 수출강국일수록 수출하는 나라의 화폐보다 자국의 화폐가 평가 절하 되어야 수출할 때 유리합니다. 무슨말이냐면 미국에 일본 상품을 수출한다고 가정 했을 때, 1달러 = 1,000원 .. 2025.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