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 기획을 평가하는 기준에 대해 알아보자.
기획자가 생각한 UX 기획이 유효한지 실현 가능성이 있는지 평가하는 작업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자. UX 기획은 네 가지 기준을 바탕으로 평가한다. 첫 번째는 해결하려는 pain point의 크기에 대해 고려한다. pain point의 크기는 해당 문제가 발생하는 빈도와 심각도를 곱하여 결정한다. 또한 얼마나 강력하게 pain point를 해결할 수 있는지를 검증한다. 실현하는 데 드는 비용과 시간도 함께 살펴본다. 자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상위 concept와 정합성 및 친화성을 고려한다. pain point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해당 pain point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얼마나 돈을 내는지로 측정할 수 있다. 해결을 목표로 하는 pain point의 크기가 클수록 UX 기획이 효과적으로 작동했을 때, 얻는 비즈니스 성과도 크다. 두 번째 판단은 UX 기획자가 얼마나 자신의 기획 방법론에 자신이 있는지로 평가한다. 또한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성과를 얻는 UX 기획인지도 검증한다. 이러한 과정은 유효성이 높은 UX 기획을 대략 선별하는 과정이므로 시간이나 노력을 크게 들일 필요는 없다.
UX 기획의 통합과 journey의 설계에 대해 알아보자.
유효성이 높은 UX 기획 선정이 끝나면 UX 기획을 통합하여 customer journey 설계를 진행해야 한다. 지금까지 수립한 UX 기획을 기존 서비스에 접목했을 때, 서비스 concept가 어떻게 진화할 수 있을지를 생각한다. 예를 들어 검토를 통해 수립한 UX 기획을 기존 서비스인 '온라인 방 찾기 서비스'에 적용하면 사용자가 기다리기만 해도 알아서 방을 찾아주는 온라인 서비스 또는 신뢰가 높은 부동산 중개인을 찾아주는 서비스와같이 새로운 서비스 concept를 계획할 수 있다. 이러한 concept가 결정되면 사용자가 어떤 경험을 하게 될지 customer journey를 그려야 한다. 이러한 작업은 매우 난도가 높으며, 창의적인 작업에 속한다. UX 기획자 중 재능이나 센스가 있는 사람은 이런 customer journey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하지만 보통의 기획자는 어려운 작업이다. 우선 만들고 싶은 UX를 시각적으로 이미지화한다.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만들려는 형태를 스케치로 표현한다. 이처럼 만들고 싶은 경험을 스케치하면 구체적인 화면 이미지를 떠올리면서 사용자의 성공을 얼마나 강력하게 도울 수 있는지, 어떻게 구성하면 사용자의 경험을 수월하게 제안할 수 있을지 실현 가능성을 명확하게 검토할 수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의사결정자들은 사용자 경험에 중점을 두지 않고 어떻게 하면 사용자를 끌어모을 수 있을지에 대한 프로모션으로 빠질 수 있는데, customer journey에서는 철저하게 사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검토해야 한다.
프로토타입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프로토타입은 반드시 와이어 프레임이나 웹 화면 이미지와 같이 구체적인 것으로 구현할 필요는 없다. 기획자가 구현한 UX 기획이 어떤 맥락에 있는 사용자에게 어떤 UX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생활을 어떠한 방법으로 풍요롭게 하는지를 설명하는 서비스 개요에 대한 소개자료로 구성해야 한다.
concept sheet를 만들어 보자.
사용자의 경험을 예상하게 만드는 서비스 개요 자료를 concept sheet라고 부른다. 초기에 와이어 프레임이나 디자인한 이미지로 구현하기보다는 기획자가 검증하고 싶은 concept가 명확하게 드러나는 자료가 좋다. 사전 지식이 정확하게 없는 사람도 한눈에 알아보고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구성해야 한다. 즉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경험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화면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면 사용자가 경험을 상상하기 쉬움으로 정성 조사에 더욱 의미 있는 자료를 얻을 수 있다. 만약 concept sheet가 사용자가 이해하기 위해 어렵게 구성되어 있다면 사용자의 의견이 정말로 UX 기획이 마음에 안들어서인지, concept sheet 자체가 문제가 있는 것인지 구별하기 어렵다. 즉 신뢰성 높은 자료를 얻을 수 없다.
사용자 경험을 해석할 때 주관적인 요소를 배제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한다.
concept sheet를 작성할 때 세련된 디자인 요소를 가미하여 겉보기에 멋진 소개 자료를 만드는 데 지나치게 노력하는 경우가 있다. 검증하고 싶은 UX 기획이 사용자의 생활을 어떻게 풍요롭게 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다른 해석을 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기게 되면 사용자가 경험을 상사하기도 전에 concept sheet 그 자체가 만족스러워 좋은 경험을 할 수 있다고 착각할 수 있다. concept sheet의 주된 목적은 사용자가 기획자가 구상한 새로운 UX를 경험했을 때의 '기대'이다. 즉 피험자의 주관적인 이미지가 형성되어 기대치가 바뀌어버리면 서비스에 대한 반응이 달라질 수 있다. 디자인적으로 아름다움과 멋짐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UX 기획이 사용자 경험에 어떤 기대를 갖게 하는지를 최대한 알기 쉽게 작성해야 한다.
concept sheet는 UX 기획자가 작성해야 한다.
UX 기획을 수립한 사람이 concept sheet를 작성해야 사용자에게 어떤 경험을 제공하고, 어떤 상황에서 사용자의 생활을 풍족하게 만들 것인지가 잘 드러나게 된다. UX 기획자는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자신의 가설을 발전시킬 수가 있고,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경험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조사를 할 때는 해당 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드는 비용을 명시해야 한다. 비용 없이 조사하게 되면 사용자의 기대가 왜곡될 수 있다. UX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근거를 명시해야 한다. 사용자가 해당 UX가 신뢰도가 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전문기관과 협업했다는 내용을 담거나, 어떤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명기한다.
'UXUI설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UI 서비스 기획자를 위한 Figma interface 알아보기 (3) | 2024.10.14 |
---|---|
Top down UX 그로스 방법론 사업 전체 개혁의 추진 (1) | 2024.10.07 |
UX 개선 활동을 조직적으로 구축하는 방법 (0) | 2024.10.06 |
서비스 고속 개선 UX 기획의 프로세스 (1) | 2024.10.06 |
bottom up UX 기획 방법론 (2) | 2024.10.05 |
Bottom up UX 그로스 방법론 (1) | 2024.10.02 |
인간의 의사결정을 고려한 UX 기획 (0) | 2024.10.01 |
UX 기획을 위한 사용자 이해 재정의 (0) | 2024.10.01 |